[건강] 변비 해결에 좋은 식품 BEST 5
안녕하세요 진다나입니다. ♥♥
변비는 배변이 힘들거나 횟수가 적어 3~4일에 한 번 미만인 상태를 말합니다.
변비는 전 인구의 5~20%가 증상을 호소할 만큼 매우 흔한 증상인데요. 연령이 증가하면 그 빈도가 증가하며 남성보다는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한다고 하니, 주의깊게 살펴야 합니다.
변비 예방에는 식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평소 물을 자주 마시고 식이 섬유소가 많이 든 음식을 먹는 게 도움이 되는건 다들 아는데 콕 찝어 어떤음식을 먹어야 할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이제 살펴볼까요??
1. 무
식이 섬유질이 풍부해 장운동을 촉진시킵니다. 수분을 흡수해 변의 양을 늘려 변비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며 장을 깨끗하게 해주는 정장 기능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2. 고구마
몸 안의 독성을 없애거나 완화시키는 성분이 많습니다. 수용성 식이 섬유도 많이 들어있어 장운동을 원활하게 해서 배변 활동에 좋기때문에 변비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3. 사과
식이 섬유소인 펙틴이 풍부해 장내의 수분 유지에 좋고, 대장에 쌓인 단단해진 변을 부드럽게 해 배변을 촉진 합니다. 변비일 때는 통째로 먹는 것이 좋지만 설사를 할 경우에는 갈아서 먹는 것이 효과이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4. 바나나
바나나의 효능 중 가장 주목 받는 것이 바로 변비 해소 입니다. 바나나는 껍질과 과육 사이에 펙틴이 풍부해 변비에 아주 좋습니다.
반점이 있는 바나나를 우유에 갈아 마시면 더욱 효과가 뛰어나다고 합니다만, 덜 익은 바나나는 오히려 변비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잘 익은 바나나를 섭취해야 합니다.
5. 다시마
변비에 좋은 대표적인 해조류 입니다. 끈적끈적한 성질의 탄수화물인 알긴이 20% 가량이나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성분은 장의 연동 운동을 돕고 수분을 적당히 유지해 변비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평소 식습관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위에 나열된 추천 음식을 풍부하게 섭취하되,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음식이나 술을 자제하고, 변비약으로 해결하려는 습관도 계속되면 좋지 않다고하니 변비 해결을 위해 식습관 관리리를 철저히 해야겠죠?
오늘도 !! 쾌변하세요 :)
다음에 더 알찬 건강 소식으로 찾아올게요. 안녕 ♬
'소소하게 챙기는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코피 멈추게 하는 법 (0) | 2019.05.30 |
---|---|
[눈건강] 인공눈물 사용법, 주의사항 (0) | 2019.04.18 |
[건강] 보건소 금연 클리닉과 함께 금연에 성공해보아요! (0) | 2019.03.05 |
[건강] 노니 (Morinda citrifolia) 의 효능 10가지 (0) | 2019.03.05 |
[건강] 전자담배는 몸에 해로울까? (0) | 2019.03.03 |
[제품리뷰] 해저드4 서브 팟 선글라스 파우치
안녕하세요 진다나입니다. ♥♥
개나리꽃 진달래꽃 벚꽃이 피는 4월
그동안의 히키코모리 생활을 접고 밖으로 놀러 나갈 생각에 설레는 요즘
자전거 라이딩이나 등산 등 아웃도어 활동 중 착용할 선글라스를
안전하게 보관할 파우치를 알아봤어요.
제가 선택한 제품은 해저드4의 서브 팟이라는 파우치입니다.
해저드4는 택티컬한 가방이나 파우치를 주로 만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회사에요.
애플 제품과 같이 디자인은 캘리포니아에서 생산은 중국이네요.
타원형 디자인에
매우 튼튼한 코듀라 1000 데니어 원단, 지퍼는 YKK 5RCT가 사용되었습니다.
크기는 가로 20cm 세로 8cm 높이 7cm 로 일반 선글라스를 보관하기에는 조금 큰데요.
저는 오클리 로미오1 을 수납하기 위해 서브 팟을 선택했습니다.
레이벤이나 프로그스킨 사이즈의 선글라스를 쓰시는 분은 더 작은 사이즈의 Mil-Pod 이 나을 것 같아요.
사이즈가 넉넉해서 선글라스 이외의 물품도 보관하기 좋을 것 같네요.
택티컬 스타일의 가방이나 벨트에 채결할 수 있게 똑딱이 단추와
필요한 곳에 매달수 있는 후크고리가 달려있어요.
지퍼에는 열기 편하게 스트랩이 달려 있네요.
가격은 2만원 중반대에요.
후크와 외관 디자인이 조금 아쉽지만
넉넉한 사이즈, 튼튼한 원단을 사용해 내부 물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벨트나 가방에 체결하기 좋은 단추와 고리가 달려있어
아웃도어 활동에 적합한 파우치라고 생각합니다.
제 기준으로는 ★★★☆ (별 세개 반)
선글라스 파우치 선택하시는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그럼 다음에 또 뵐게요. 안녕 ♬
'세상엔 재미 있는게 너무 많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XBOX/PS4] 브룩 슈퍼컨버터 그린 (0) | 2020.07.03 |
---|---|
[XBOX] 엘리트 컨트롤러 시리즈 2 (0) | 2020.06.27 |
[게임] 레이싱휠 로지텍 G29, 트러스트마스터 T300RS GT 간단 사용후기 (1) | 2019.11.25 |
[리뷰] 충전기 XTAR VC2S 개봉기 (0) | 2019.03.09 |
[게임] 브롤스타즈 통계 앱으로 브롤을 더 재미있게 즐겨봐요. (0) | 2019.03.09 |
[금융] 재테크 첫걸음, 가계부 쓰기, 꿀팁공유
안녕하세요 진다나입니다. ♥♥
나 또는 우리가계의 소비의 특성이나, 소비 습관을 분석하려면 무엇으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카드내역? 통장? 영수증?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그래서 재테크 첫걸음 세번째 시간 가계부 쓰기로 준비했습니다.
엄청 귀찮고 미루게 되죠. 가계부 쓰기 쉽지않습니다. 다음주 부터는 꼭써야지, 새해에는 꼭써야지, 결심하지만 실행했다더라도 작심삼일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일텐데요.
지출할때, 그때그때 메모하는 습관이 없다보니, 미루게 되면 결국 가계부 쓰기를 포기하게 되더라구요.
▶ 왜 가계부를 작성해야하는가?
가계부를 쓰기를 실행해야하는 이유는 많습니다.
대표적인 이유는 수입 및 지출의 현금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인데요.
본인의 수입 및 지출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상 기억에만 의존하게 되면 어디에 얼만큼이 사용되었으며,
그 금액조차 착각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가계부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 볼수 있으며
그다음 소비에 대한계획을 세워 새는돈과 낭비하는 습관을 재점검 할수 있습니다.
▶ 현금흐름 파악이 왜 중요한가?
마음을 다잡고, 가계부를 펼쳤는데 수입, 지출, 그밖의 메모 등으로 막막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하려고 하지마세요! 십원단위까지 정확하게 기록할 필요는 없습니다.
흥미를 쉽게 잃을거에요. T.T
장기적으로 흐름을 보기위한 것임을 잊지말아야 합니다.
하루정도 건너뛰는거에 너무 상심하지마세요!
계정을 나누는것도, 너무 세분화하여 나누지 않도록 합니다.
본인이 알아보기 쉽도록, 최소한으로 구분하여 기록하는것이 장기적인 시점에서 이롭습니다.
예/결산 작업이 중요합니다.
소득대비 예상지출을 계산해봅니다. 정확하게 하지않아도 대충 일주일이나 한달단위로 예상해 본후,
처음 세웠던 계획보다 지출을 많이하거나, 반대로 생각보다 지출이 적었던 항목을 추려냅니다.
예를들면 식비는 생각보다 많이 지출했다고, 가정해봅니다.
당분간 외식은 줄이는 방식으로 지출을 조절할 대책을 세울수 있겠죠?
제정상태의 파악이 되었다는것만으로도,
이미 절반은 성공한것이라고 할수 있으니 힘내봅니다!! >_<
▶ 시간 및 장소에 구애 받지않는 "스마트폰 어플 가계부"
지금시대가 어느 시대인데, 두꺼운 가계부를 펴서 하나하나 기록하고, 종이영수증을 살펴 보나요?
요즘 젋은층 사이에서 유행하는 가계부 앱을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귀차니즘으로 가계부쓰기를 포기했다면, 이번엔 "가계부앱" 으로 도전해보세요.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안드로이드)또는 앱스토어 (아이폰) 에서 검색 =>
네이버 가계부, 똑똑가계부, 초간단 가계부, 뱅크샐러드
앱의 상단에 현재까지 지출한 금액이나,
수입액 잔액 통계를 표시해 주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고, 편리합니다.
카드를 사용하면 받는 결제 문자메세지를 통해 자동으로 가계부에 입력이 되는 기능이 있는가 하면,
통계그래프를 통해 주로 어디에 지출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나요??
올해에는 가계부 쓰기 절대 놓치지 마세요!!
다음에 더 알찬 금융 소식으로 찾아올게요. 안녕 ♬
'함께 금융 지식을 쌓아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재테크 첫걸음, 신용등급 지키는 방법, 오해와 진실 (0) | 2019.03.20 |
---|---|
[금융] 재테크의 첫 걸음, CMA 통장 가지고 계신가요 ? (0) | 2019.03.08 |